1. cs 분야에 관심이 있으면 읽어보세요. 1탄
1. IT 트렌드의 변화(CS의 유사 전공 학과 이름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요새 기사글에서 많이 보이는 알고리즘이라는 용어는 정확하게 표현하면 "사용자의 데이터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 알고리즘"이라고 표현이 가능합니다. 사용자가 youtube 내에서 활동했던 내역의 Data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다음 행동을 예측하는 패턴 인식 분야의 연구 분야에서 주로 다뤘던 내용들입니다. 그러면 이런한 추천 시스템은 언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나면 1996년 텔넷 기반의 pc 통신 환경에서 인터넷(www) 환경으로 바뀌면서 연구들이 이루어졌습니다.
인공 지능 분야의 자연어 처리쪽으로 연구하던 사람들이 주로 1990년대 중반 검색 엔진쪽 연구를 진행하다가 보통 90년대 후반 web 환경으로 바뀌면서 추천 시스템 분야쪽으로 많이 연구를 했었습니다.
이런 얘기를 굳이 하는 이유는 지금 산업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기술들은 이미 20년전부터 연구가 상당히 많이 진행된 분야라는 얘기입니다. 2000년대 초반으로 넘어가면서 이러한 분야는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이 이루어집니다.
센서 네트워크라는 분야쪽으로 확장되면서, 모바일 환경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다양한 센서들이 개발되고, 다양한 센서들이 통합된 스마트폰이 나타나게 됩니다. 2005년 전후로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이 통합된 스마트폰이 개발되기 시작합니다.
이때 GPS 정보를 사용한 LBS(local baseed service) 서비스들이 나오게 됩니다.
(이때 IT 전공쪽으로 좀더 세분화된 텔레매틱스 학과 혹은 지리정보학과, 이런 유사함 이름들이 전공들이 개설되었습니다.)
위치 정보 서비스 가장 대표적으로 얘기하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들이 바로 이런 프로그램의 유형에 포함됩니다.
2010년으로 가면서 다양한 센서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사물인터넷이라고 불리는 분야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 분야들이 보통 CS 분야 중에서 네크워크나 분산 컴퓨팅 분야쪽을 연구했던 분들이 주로 연구했던 분야들입니다.
Grid computing, cloud computing분야들이 보통 2005~2010년 사이에 많이 연구됐던 분야들이라고 보면 됩니다.
다양한 기기들이나 센서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니, 기존의 네트워크 환경에 비해서 처리해야하는 데이터의 양을 많아졌습니다. 이 시기에 기존의 2G 통신 환경에서 3G 환경으로 넘어가게 되고, 2012년~13년 경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고 데이터 통신 시대로 넘어가게 됩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아날로그 통신 방법과 디지털 통신 방법으로 구분되는데, 디지털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압축기법 적용이 가능해져 동일한 회선을 사용하더라도 동시에 8배의 용량을 더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그만큼 동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성능도 좋아진다는 의미이며, 이 얘기는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양이 기존에 비해 8배 정도 더 만아진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즉, 과거에 비해 처리되야할 데이터의 양이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나온 용어가 Big Data라고 보면 됩니다.
주로 이 분야는 Database쪽으로 연구하던 분들이 연구했던 분야로서, 주로 인공지능 분야 중에서 Data mining이라고 하는 분야를 2000년대 초반부터 해왔던 분들이 건들였던 분야입니다. 컴퓨터공학쪽에서는 데이터베이스나 혹은 인공지능을 연구하던 연구실에서 진행했던 연구 분야로 보면 됩니다. 보통 이런쪽 연구실을 나온 박사들이 나중에 교수자리를 찾을 때 경영학과쪽으로 가서 빅데이터 학과 혹은 데이터마이닝 학과로 자리를 잡은 것이고, 보통 이런 과들이 이름들이 요새 data scince 전공이나 ai 학과라고 이름만 바꼈다고 보면 됩니다.
대부분 이런 전공들이 개설된 학교를 보면 일반적으로 CS 전공은 오래전부터 계속 유지가 되어 있는 상태라고 보면 되며, data scince 학과의경우에는 다양한 전공의 교수진들이 포진되어 있지 않고, CS 쪽 수업을 듣거나 혹은 다른 유사 전공을 들으면 학점을 인정해주겠다는 식의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편적이라고 보면 됩니다. CS에서는 1~2년 사이에 배우는 전공을 한학기 몇개월만에 끝내는 수업, 즉 수박 겉핥기 식의 교육이 진행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