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한다면 꼭 알아야 할 TOP5
취업준비를 한다면 누구나 고민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자격증 취득!
한능검 시험을 준비하는 취준생분들이 꼭 알아햐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필수정보 TOP5를 소개해드립니다. :)
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시험 일정
구분 | 시험일 | 원서접수 | 합격자 발표 |
제51회 | 2월 6일 토요일 | 1/11(월) ~ 1/15(금) ※추가접수: 1/22~1/25 |
2월 19일 금요일 |
제52회 | 4월 11일 일요일 | 3/15(월) ~ 3/19(금) ※추가접수: 3/26~3/29 |
4월 23일 금요일 |
제53회 | 6월 5일 토요일 | 5/10(월) ~ 5/14(금) ※추가접수: 5/21~5/24 |
6월 18일 금요일 |
제54회 | 8월 7일 토요일 | 7/12(월) ~ 7/16(금) ※추가접수: 7/23~7/26 |
8월 20일 금요일 |
제55회 | 9월 11일 토요일 | 8/16(월) ~ 8/20(금) ※추가접수: 8/27~8/30 |
9월 24일 금요일 |
제56회 | 10월 23일 토요일 | 9/27(월) ~ 10/1(금) ※추가접수: 10/8~10/11 |
11월 5일 금요일 |
2021년 기준으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총 6회 진행될 예정입니다.
대부분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토요일에 진행될 예정이며,
4월에 진행되는 52회 한능검 시험이 예외적으로 일요일에 시행될 예정입니다.
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시험시간
심화 | 10:00 ~ 11:40 | 오리엔테이션 → 신분증 확인 → 문제지 배부 → 시험 진행 [심화 80분, 기본 70분] |
|
기본 | 10:00 ~ 11:30 |
한국사 시험 시간은 10시에 시작하며, 시험시간은 약 80분간 진행됩니다.
기본 시험이 심화 시험시간보다 10분 더 짧은 관계로, 시험 종료 시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준비물
심화 | 10:00 ~ 11:40 | 오리엔테이션 → 신분증 확인 → 문제지 배부 → 시험 진행 [심화 80분, 기본 70분] |
|
기본 | 10:00 ~ 11:30 |
한국사 시험 준비물은 [수험표, 신분증, 컴퓨터용 수성사인펜, 수정테이프] 입니다.
수험표를 통해 본인 식별이 불가능할 경우, 시험 응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험표에는 본인 여부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는 증명사진이 있어야 됩니다.
4. 벼락치기 꿀팁
벼락치기를 통해 한능검 시험에 합격한 독취사 회원분들의 합격 수기를 소개해드립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급하게 준비하시거나, 단기간 취득을 원하는 회원분들은
한능검 벼락치기 후기를 함께 확인해주세요!
당일에 최대한 많은 선지를 알아볼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
접수만 해두고 쉬엄쉬엄 공부하다가 일주일 전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벼락치기를 시작했습니다.
시간이 부족했지만 개념 1회독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개항기 파트까지 1회독 후,
개념과 기출을 병행하였습니다.
기출은 개념 전까지만 돌리며 문제가 어떤식으로 나오는지 선지 분석에 집중하였습니다.
개념을 다 돌린 후에는 이동 시간에는 개념 요약 강의를 2배속으로 들으며
개념 암기에 집중하려고 하였고,
기출을 풀 때는 1번부터 5번까지 모든 문제를 왕과 시기를 적어가며 풀었습니다.
기출은 시간이 부족하여 45-50회차만 풀었는데, 못외운 선지는 형광펜으로 그어두고, 외운 선지는 검정펜으로 과감하게 그어 다시 보지 않았습니다.
설마 이 선지가 또 나오겠어? 생각하며 의심했던 선지가 51회에서 정답으로 나오더라구요.
꼭꼭 문제푸는 거에 집중하지 않고
당일에 최대한 많은 선지를 알아볼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원문출처▶ https://cafe.naver.com/dokchi/10828074
단기 합격 비결은 '요약강의'
51회 가채점결과는 94점이네요.
저는 한달정도 준비했네요. 2주정도 개념을 인터넷 강의로 빠르게 반복해서 계속 들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기출문제를 계속 풀었습니다. 처음풀면 점수가 당연히 안나옵니다. 그래서 한번에 50문제씩 풀지않고 한문제 한문제씩 지문을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그러다보면 점수는 자연스럽게 올라옵니다. 그리고 개념이 튼튼한게 중요한게 좋기때문에 일주일에 2일은 개념요약강의를 처음부터 끝까지 들었습니다. 요약강의가 아주 많은 도움이 됬습니다.
1. 개념강의 2주안에 빠르게 듣기
2. 기출 1회씩 한번에 다풀지말고 한문제씩 꼼꼼히 풀기
3. 요약강의 빠르게 듣고 다시 기출풀기
원문출처▶ https://cafe.naver.com/dokchi/10838626
기출만 돌리는건 '비추'!
2016년인가, 17년에 한 번 본적이 있었어요. 그런데 취업하는데 사용하지 못할 것 같아(2~3년 이내의 자격증 필요) 갱신을 목적으로 다시 준비했습니다.
50회가 어려웠던 것도 있고, 공시생들도 있고 해서 3시간을 대기탄 후에 겨우 접수한 시험인지라 떨어지진 말아야겠다고 열심히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 다행스레 예상과 다르지 않게 꽤 쉬운 난이도로 출제가 되어 합격 할 수 있었구요. 다만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나름의 조언을 남기고자 함입니다.
여러분, 기간은 2~3주면 충분해요. 사실 2주 정도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그리고 기출만 돌리시는 건 비추, 기출이 상당히 도움이 되기 때문에
5회분 정도는 돌리고 가셔야 겠지만 개념조차 잡히지 않고 시험을 보는건
단순히 운에 맡기는거라고 생각합니다.
따기 어려운 자격증이라 생각되진 않기 때문에, 짧고 굵게 준비해서 다들 합격하셨으면 좋겠어요!!!
원문출처▶ https://cafe.naver.com/dokchi/10842679
⭐ 더 많은 벼락치기 꿀팁 보러가기 ▼
(5) 한능검 3주완성 커리큘럼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00점 시험후기] 한국사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후기 작성합니다. 0. 금액 - 요새 한국사 강의는 한능검 말고도 대부분이 무료입니다. (강의비 = 0원) - 교재는 필기가 되있는 것을 계속 읽고, 기출은 풀이가 중요하기에 둘다 구입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교재 1권 / 기출풀이집 1권 = 뭐 대략 넉넉하게 5만원 미만? / 다른건 필요없습니다.) 1. 기간/방법 - 최소 2주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1주 : 인강 빠르게 듣기(기본개념 or 압축개념) 저는 너무 자세한 기본개념은 싫증날거 같아서 압축개념을 수강하였고, 대신에 기출문제집 풀이에 좀 더 집중 - 1주 : 개념은 분량을 정해서 계속 읽으면서 기출풀이 진행 압축개념이라 조금 모자란 개념은 기출풀이를 병행하면서 계속 새로운 개념 추가하는 식으로 진행 2. 시험 전 - 요즘 유튜브에 강사님들이 전야제(전날 짚어주시는 거)를 라이브로 진행하시는데, 꼭꼭 들으시길 추천드립니다. 헷갈리는 것을 바로잡고 그래도 몰랐던 것들도 얻어갈 수 있기에, 라이브 들은 후 딱1번만 보고 자면 시험당일날 기억이 잘납니다. 3. 그 외 - 기출문제 점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꼭 문제를 풀고 선지 하나하나마다 아는건 읽고 넘기고(복습했다치고!), 모르는 것들은 꼭 이유를 알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 따로 정리하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그냥 개념 + 기출(문제/선지) 계속 읽고 또 읽고 하시면 나중에는 그사람이 언제 사람이고, 뭘 썼고 등이 자연스럽게 정리가 됩니다. - 자신만의 암기공식(?) 꼭 만드셨으면 합니다. (이괄의 난 / 정여립 모반 / 무갑기을 / 환국 등) 저는 유치하지만 절대 안틀리게 근현대 부분까지 전부 조금씩 그런 방법을 만들고 들어갔습니다. (심지어 글자수 3+7 / 3>2 등 뭐 말도 안되는 것도 일단 저는 알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 공부는 꼭 처음부터 쭉 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선후관계 등이 잘 암기가 되는 것 같습니다. - 한국사 시험은 분명 80분 전에 대부분 끝이 납니다. 쉽다고 너무 자만하지말고 겸손하게 아는 문제는 동그라미를 치고 모르는 문제는 2,3번 보는 한이 있더라도 천천히 푸시길 추천드립니다. (저는 그럴 필요는 없지만 100점 맞고 싶어서 3번정도 검토했습니다.) 원문출처▶ https://cafe.naver.com/dokchi/10851142 |
[쉽게 합격하는 세 가지 방법] 1. 제일 먼저 기출한바퀴 풀고 오답하면서 유형 파악하기. (시험 전까지 총 기출 3바퀴 돌았어요) 기출오답하다보면 외워야할 포인트들이 보여요!! ex) 삼국시대 흐름, 발해, 일제강점기 년도별 특징, 역사 인물 등등 그래서 오답을 하다보면 익숙한 것들도 생기고 외워야 할 것들이 보입니다. 2. 40강짜리 동영상 보기 이건 앞에 기출 돌리면서 내가 부족하거나 헷갈리는 파트 찾아서 보시면 되요. 저는 노베이스에서 강의 들으시는 것보다 문제 풀면서 익숙해지신 다음에 보충이 필요한 부분을 강의로 들으시는걸 더 추천해요! 3. 같이 공부할 수 있는 친구있으면 같이하기. 시험 일주일 전 70점대도 안나와서 큰일났다 하던 중에 친구랑 같이 공부한 날이 있었는데 서로 이야기하면서 입으로 말을 하니까 자연스레 확 점수가 올랐어요. 제가 부족했던 걸 친구가 채워주고 친구가 부족할걸 제가 채워줄 수 있어서 좋았어요! 기출 두바퀴 돌았을 때 (많이 나와도 60점, 보통 50점대 이렇게 나왔어요) '와 이걸 어떻게 다 외우지,,? 나는 못하겠다,,'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그럴때 환기를 시켜주시는 것도 추천해요! 저는 기출문제집을 한 권 새로 샀어요 ㅎㅎ (의지만 있었다면 굳이 살 필요는 없었는데 기출을 두바퀴 돌았음에도 불구하고 점수가 안나와서 현타가 왔었던 시기라 그냥 빳빳한 새 문제집을 사서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했더니 도움이 되었어요 돈 아깝지 않았어요!) 기간은 다들 2주~한 달 하시는데, 저는 3달정도로 천천히 했어요. (앞에 두 달은 학기중이기도 했고) 저 외우는거 진짜 못하는데 저도 했어요! 다들 열심히하면 좋은결과 있을거에요!! 원문출처▶ https://cafe.naver.com/dokchi/10858557 |
[노베이스를 위한 한능검 공부방법] 노베이스분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부분이 ~일 공부하면 붙을 수 있을까요? 라고 질문을 많이 하실텐데 며칠을 공부하든간에 얼마나 선택과 집중을 해서 공부하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노베이스라고 하더라도 한달까지는 굳이 잡으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매일 매일 한국사에 투자할 시간이 있으신 분이라면 하루 5~6시간 정도 2주면 충분히 합격하고도 남을 시간이라고 봅니다. 한국사의 양이 워낙 방대하기 때문에 모든 부분을 하나하나 지엽적으로 공부하다보면 몸도 마음도 지치게 되버리기 때문에 파트별로 나눠서 인강을 들으신다면 인강을 듣고, 아니라면 스스로 충분히 이해가 될만큼 학습하신뒤에 그 파트에 해당하는 기출을 5회차 정도는 풀어보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그렇게 풀다보면 어느부분이 자주 나오는지 다 파악이 될것입니다. 물론 동일하게 문제가 출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진짜 풀다보면 다 보이게 됩니다. 2주를 공부기간으로 잡으신다면 12~13일은 개념공부와 각 파트의 기출풀어보기 그리고 마지막 시험전 날에는 5회차 정도의 기출을 풀어보고 틀리거나 헷갈렸던 개념을 다시 한 번 복습하시는 방법으로 하시면 충분히 합격하실겁니다. 그리고 하루만에 5회차 정도의 기출을 풀 수 있을지에 대해 궁금해 하실텐데 공부가 다 되어있는 상태라면 40~50분이면 충분히 풀고도 남습니다. 우리는 100점이 목표가 아닌 1급을 따는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5문제 정도는 모르면 그냥 찍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그 중에 맞는 문제가 있으면 재수인거고 찍어서 다 틀려도 나머지가 다 맞는다는 가정하에 최소 85점이기에 충분히 한국사 1급에 합격하시고도 남으실겁니다. 원문출처▶ https://cafe.naver.com/dokchi/10823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