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도시 서울특별시 역사 1편 (개요, 삼국시대 - 상)
개요
서울은 현 대한민국의 수도이고 이전에는 백제, 조선의 500여 년 수도였으며 250여 년 정도 고려의 부수도(오늘날의 광역시 역할)였습니다. 또한 고구려의 3 경이 었을 가능성도 존재하고 신라시대에도 한산 주의 중심지라 지금으로 치면 도청 소재지쯤 위상은 가졌었습니다. 또한 삼국시대 내내 서울을 포함한 한강 유역은 격전지이자 최고의 군사적 요충지였습니다. 따라서 서울은 다섯 왕조의 유산이 모두 남아있는 한국사의 대표적인 고도(古都)입니다.
삼국시대 - 상
고대부터 한강의 잦은 범람으로 땅이 비옥한 땅이었습니다. 수도로서의 최초 기록은 백제의 온조왕이 세운 위례성입니다. 전통적으로 백제 위례성(한성)과 고려 남경/조선 한양이 별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반만 맞는 소리입니다. 현대의 서울시계 기준으로는 같은 서울이지만 현재의 풍납토성 일대는 광주시가 1963년 새로 편입하면서 들어온 것이고 전통적으로 강북은 양주와 강남은 광주라는 다른 행정체계에 묶여 왔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위례성의 역사가 조선의 한성부와 아예 관련이 없다는 통념 역시 매우 잘못되었는데 한성부의 뿌리인 고려 남경의 근원을 백제 수도 한성으로 보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고려사 지리지에서도 고려 남경을 백제의 고도로 보는 당대인의 인식이 드러났습니다. 따라서 고려 남경의 후신인 조선 한성부의 뿌리를 백제에서 찾는 것도 무리가 아닙니다.
주지하다시피 백제의 기록이 별로 잘 남아 있지 않기는 하지만 풍납토성,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의 위치로 보았을 때 서울시계 내임은 거의 확실합니다. 이때 이미 강남에 도읍을 정했다고 해놓고 13년에 소서노가 죽자 다시 강남에다가 도읍을 정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온조왕 원년의 위례성을 허베이 위례성, 13년의 위례성을 하남 위례성이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지만 원년의 위례성도 '일단은' 기록상으로 하남에 있었습니다. 삼국유사에서는 원년의 위례성은 사천(蛇川)으로 지금의 천안시 직산읍이며, 13년의 도읍은 한산(漢山)으로 지금의 경기 광주(지금은 분리됐지만 조선시대까지만 해주셔도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성남시, 하남시 등이 모두 광주 산하에 있었습니다.)라고 하는데 위례성 직산설은 이미 고고학적으로 부정되는 상황이고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사성(蛇城)의 존재로 비추어 원년의 위례성도 역시 한강 이남의 멀지 않은 곳이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하튼 이 시기의 위례성은 오늘날의 서울특별시 송파구 일대로 추정되었으며, 이후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발굴되면서 확실시된 상황.
다만 여기서 삼국사기 초기기록이 으레 그렇듯 온조 왕조의 기년은 비판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단 현재까지의 발굴 조사에 따르면 한강 유역에 백제 건국 세력 중 하나가 유력한 고구려계 유이민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최대로 올려 잡아도 3세기 중반이 한계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고구려계 유이민 세력은 그 전에는 2세기 중반에 임진강에 문득 갑자기 나타나서 약 백 년 동안 그곳에서 세력을 유지하다가, 알 수 없는 이유로 3세기 중반에 갑자기 임진강 일대를 완전히 떠난 다음 한강 유역에 기존 있던 해상 세력과 연합하여 고대 국가를 세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허베이 위례성은 이 맥락에서, 정말로 있었다면 임진강 유역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강북 일대는 지금 와선 설득력이 떨어진 편입니다. 박정희 정권 시절 이 일대가 개발되면서 많은 한성백제 시대의 고분군이 파괴, 소실되었으나 그 시기에도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를 막으려 했던 학자들이 있었고, 그나마 남은 자료에 대해 이들이 기록을 남겼으며, 어느 학계나 그렇듯 지금 나온 고고학적 결과가 나중에도 옳을 거라 맹신하는 태도는 위험하지만 박정희 정권이 유독 3세기 중반 이후 고구려계 무덤만 족집게식으로 집어서 부수었다거나, 그 이전 시기 토돈 분구 묘제 집단 묘제만 보존했을 거란 이상한 가설은 더더욱 성립하지 않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나라 속 도시 역사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도시 서울특별시 역사 3편 (남북국시대, 고려) (0) | 2022.08.12 |
---|---|
한국의 도시 서울특별시 역사 2편 (삼국시대 - 하) (0) | 2022.08.11 |
중국의 도시 충칭시 (역사, 지리, 행정구역) (0) | 2022.08.09 |
중국의 도시 충칭시 (개요, 규모, 지명) (0) | 2022.08.08 |
중국의 도시 우한시 (인문 지리, 기후, 경제) (0) | 2022.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