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수도 베이징, 북경 도시 구조
5 환 로까지 표기되어 있습니다. 베이징 도시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천안문 광장을 중심으로 5개의 순환도로가 도시를 층층이 감싸는 형태입니다. 2환로(二环路, 얼환루), 3환로(三环路, 싼환루), 4환로(四环路, 쓰환루), 5환로(五环路, 우환루), 6환로(六环路, 리우환루)라고 부르는 고가도로들인데, 베이징에서는 모 지역이 어느 순환도로 사이에 있는지가 베이징 시내에서의 거리, 내지 그 지역의 집값과 생활 수준을 판단하는 척도로 쓰입니다.
위치마다 조금씩 달라지지만 자금성을 기점으로 직선거리상 2 활로는 약 3~5km, 3환로는 약 6~8km, 4환로는 약 1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외곽의 5환로는 15km, 6환로는 25km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2 환 내: 2화로 자체가 과거 베이징 성벽을 따라 지어졌기 때문에 2 환 이내라면 명, 청나라 시절 베이징 내성 범위를 일컫는 입니다. 여기에는 중국 공산당 당사 등 주요 국가급 시설들이 있는 관계로 베이징시 등록 차량이나 외교관 차량, 군 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의 출입이 금지되어있습니다.
2 환 내에 집이 있는 사람은 돈이 어마 무시하게 많거나, 최소 3대째 베이징 토박이거나, 중국 정부 혹은 공산당 간부 집안 출신일 가능성이 매우 높입니다. 서울 도심에 낡은 주택 1채 갖고 있다고 무조건 금수저가 아니듯이 100% 금수저는 아닙니다. 베이징의 오래된 주택 단지인 후퉁(胡同)이 이곳에 널리 퍼져 있으며 관광지로 유명합니다. 2환로 바깥은 신식 건물이나 아파트가 대부분입니다.
베이징 버스 200번이 2환로를 순환합니다.
2 환~3 환: 2 환 내부가 정치적 시설, 문화재가 밀집해있어 다소 부담스러운 면이 있다면, 여기는 "일반적인" 도심에 더 가까운 모습입니다. 궈마오(国贸), 싼리툰(三里屯) 등 상권, 베이징 베이 역, 베이징 난역, 베이징시역 등 철도역, 베이징 동물원, 중국 국가도서관 등 시설이 이곳에 위치해있습니다.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만 타 지역 차량의 통행이 허용됩니다. 그러니 오후 8시 이전에 이에 해당하는 차량은 다 나가야 합니다. 더해서 일체의 경적이 금지되어있습니다. 베이징 버스 300번이 3환로를 순환합니다.
3 환~4 환: 약간 도심에서 벗어난듯한 느낌이지만 그래도 넓은 의미에서의 시내 범위에 들어갑니다. 중국 인민대학, 베이징 항공 항천 대학, 베이징대학 의학부, 베이징 외국어대학 등 대학 캠퍼스들이 있습니다. 베이징 버스 400번이 4환로를 순환합니다.
4 환~5 환: 베이징 최대 코리아타운 왕징(望京)이 바로 이 구역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 베이징대학, 칭화대학, 베이징어언대학 등 오도구(五道口) 권역 대학들 대부분이 이 구역 서북부에 위치해있습니다. 여기까지가 베이징 시내 폭죽 금지구역입니다.
5 환~6 환: 이쯤 되면 점점 베이징이라도 중국 시골 농촌 풍경과 소규모 읍내 같은 풍경이 섞여 있고, 가로수 밑동에 흰색 페인트칠을 해서 가드레일 역할을 하는 중국 특유의 풍경도 나타났습니다. 다만 중국 경제가 어지간히 발전하면서 웬만한 길은 포장과 회전교차로 등이 완비되어 있는 상태.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과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가 이 구역 동쪽에 있으며, 여행사로 패키지 끼고 관광 온 한국인들 우르르 몰고 가서 뭐 사라고 쇼핑시키는 창고가 대개 이쯤에 있습니다.
6 환 밖: 이쯤 되면 행정구역만 같은 베이징일 뿐 완전히 딴 동네입니다. 북쪽 기준 옌창 구(延庆区), 화이러우구(怀柔区), 미윈 구(密云区), 핑구구(平谷区) 이 4개의 가장 마지막에 베이징으로 편입된 구 전역이 6 환 밖에 위치해있는데, 여기는 각자의 중심 지역이 있고, 아직 지하철이 개통되지 않아 베이징 시내로 나가려면 기차 혹은 광역버스를 타야 합니다.
다만 동쪽 퉁저우구(通州区)는 여기서 말한 "딴 동네"에서 예외입니다. 앞서 설명했듯이 요 근래 베이징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도심 과밀화 방지 정책의 일환으로 기존의 동쪽 교외지역이었던 퉁저우를 "행정중심"으로 밀고 있는데, 이 행정중심이 정확히 말하자면 6 환로 동쪽 구간 인근에 형성돼있습니다. 당장 베이징 시청 신청사가 6 환 밖에 있습니다!
7 환: 공식 명칭은 수도 지역순환 고속공로(首都地区环线高速公路)이며, 2016년 12월에 개통했습니다. 6화로 밖에 있다고 하여 7 환 로라는 별명이 붙여졌으나 정식 명칭은 아닙니다. 무엇보다 이쪽은 아예 고속도로이므로 별개의 체계로 봐야 하고, 베이징 외곽 지역과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줘저우 시, 랑팡시, 청더시를 잇는 도로이기 때문에 이 도로를 기준으로 어느 지역이 베이징 시내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논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합니다. 그 외 7 환 밖에 톈진과 허베이를 순환하는 G112 국도가 있으나, 이미 베이징이라 보기에는 한참 떨어져 있어서 이걸 8 환이라 부르는 사람은 도로 덕후 정도입니다.
전반적으로 베이징은 북쪽이 남쪽보다, 동쪽이 서쪽보다 발전 수준이 높입니다. 그래서 같은 환에 있을지라도 어느 방위에 있느냐에 따라 생활 수준과 땅값이 차이가 크게 나는데, 때문에 몇 환인지 앞에 동서남북 방위명을 붙이는 게 일반적입니다. 베이 싼 환(北三环, 북 3 환), 난쓰환(南四环, 남 4 환) 이런 식으로 했습니다.
'나라 속 도시 역사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도시 상하이, 상해 (개요, 이름) (0) | 2022.07.29 |
---|---|
중국의 수도 베이징, 북경의 코리아타운 (우다오커우, 왕징) (0) | 2022.07.28 |
중국의 수도 베이징, 북경 자연환경과 기후 2편 (0) | 2022.07.26 |
중국의 수도 베이징, 북경 자연환경과 기후 1편 (0) | 2022.07.25 |
중국의 수도 베이징, 북경 시민의 특권 (0) | 2022.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