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라 속 도시 역사 문화

중국의 도시 우한시 (인문 지리, 기후, 경제)

by 카카오블로거 2022. 8. 7.

중국의 도시 우한시 (인문 지리, 기후, 경제)

우한시 인문 지리

도시권은 남동쪽의 우창, 중북부의 한커우, 남서쪽의 한양의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우한 삼진"으로 불립니다. 그래서 우한이라는 이름은 우창의 앞글자 "우"와 한커우, 한양의 첫 글자 "한"이 합쳐져 만들어졌습니다.

 

도심을 둘러싸고 이 세 지역을 모두 통과하는 외곽순환도로인 "이환선"과 "삼환선"이 있습니다. 우창 동부에는 동호, 양서호, 양동호, 남호, 탕손호, 양자호, 보한호, 부두호 등 많은 호수가 있습니다. 도심 중간에 장강이 지나갑니다. 강북과 강남을 나눈입니다.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여러 중국 도시에 비해서는 관광지로써의 매력은 다소 떨어진다는 평입니다. 물론 도심 곳곳에 마천루가 많지만 마천루는 중국 여느 대도시에서나 볼 수 있기 때문에 중국의 주요 대도시를 내버려 두고 굳이 우한으로까지 가서 마천루 구경을 할 매리트가 떨어지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물론 손권이 지었다는 황허루[8]가 있는 데다가 신해혁명의 발상지라서 역 덕이면 가볼 만한 가치는 충분하며, 후베이성 박물관의 마왕퇴 유적도 유명합니다.

 

매년 음력 3월 3일에 신농씨 설화에서 유래한 지채 자지 단 (地菜煮鸡蛋)을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는 이듬해의 역병을 막아주는 의미라 합니다. 코로나는 막지 못했다.

 

우한시 기후

남해안 지역 도서와 비슷한 온대기후로 평균적으로 온난한 날씨를 보이며, 무덥고 습한 여름과 서늘한 겨울을 보입니다. 연평균 기온은 17.1℃로 서귀포보다 높입니다. 미국과 비교해보면 대략 중남부 아칸소주 남부나 조지아의 애틀랜타와 비슷한 셈입니다. 1월 평균기온은 4.0℃으로 제주시의 1월 평균기온보다 낮입니다. 온대 습윤 기후 (Cfa)에 속합니다.

 

겨울에 춥다고 말할 수 있는데 -10℃ 아래로 1년에 한 번씩은 내려갑니다. 또한 한국의 겨울과는 다르게 우한의 겨울은 습도가 75% 정도 됩니다. 대략적으로 겨울 날씨는 서유럽이나 뉴질랜드 남섬과 비슷합니다. 실제로 서유럽과 겨울 기온이 비슷하고 습도와 강수도 비슷하기 때문에 우한에서의 겨울은 한국의 건조한 겨울과는 다르게 습하며 숫자상 기온과 달리 체감온도가 낮아서 아주 뼈 시린 추위를 느낄 수 있습니다.

 

여름엔 굉장히 더운 곳입니다. 7월 평균기온은 29.1℃며 상대습도는 약 77%으로 여느 동아시아처럼 후덥지근한 날씨를 자랑합니다. 8월 역시 28.4°C로 대구광역시쯤은 거뜬히 넘습니다. 연중 습도는 75% 전후이고 여름 강수 집중임에도 불구하고 겨울은 흐린 날이 잦고 여름은 맑은 날이 잦아 여름 일조시간이 더 많입니다. 겨울~봄에는 창장 강 저기압의 영향으로 비가 잦지만 여름~가을에는 맑은 날도 상당히 있으며 태양의 길이까지 더해져 겨울보다 여름이 확실히 일조시간이 많입니다. 또한 2003년 8월 초에 최저기온이 32.2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역대 최고기온은 서울과 같은 39.6도며 역대 최저기온은 1951년 이후 -18.1도로 연교차가 큽니다.

 

열섬 현상이 심각합니다. 충칭, 난징과 더불어 엄청난 열섬 현상을 맛볼 수 있는 도시로 중국에서는 아예 이 3개 도시를 엮어 화로 성시(火爐城市, 불가마 도시)라는 용어를 따로 만들어낼 정도입니다.

 

우한시 경제

우한의 GDP는 2014년 기준으로 약 1,610억 달러이고, 1인당 GDP는 15,764달러입니다.

 

우한은 50여 개의 프랑스 기업을 유치해 현재 우한 지역 투자의 1/3을 프랑스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역시 우한시에 SK종합화학, 포스코가 공장을 운영 중이고, 셀트리온은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을 유치하기로 우한시와 MOU를 체결했지만 하술 할 사태로 공장 건설이 지체 중인 상태입니다.

댓글